Shared Memory도 그렇고 Message Queue도 그렇고 System V 계열 ipc 들은 마지막 접근한 pid를 기록해둔다.
한 시스템에 프로세스들이 복잡하게 올라가 있고 Message Queue를 사용해서 서로 통신을 한다고 했을 때, 간혹가다가 실수로 인해 특정 프로세스가 잘못 메시지를 가져가는 수가 생긴다. 프로세스 개수가 많아져 버리면 요걸 찾아내는게 좀처럼 힘든데, 어떤 놈이 메시지를 가져갔는지 간단하게 찾아볼 수 있다. (단, 마지막으로 넣고 가져간 놈만 찾을 수 있다.)
요런 식으로 나오게 된다.
lspid는 마지막으로 전송한 pid고 lrpid는 마지막으로 읽어간 pid인듯 하고.
Shared Memory는 조금 달라서 생성한 pid와 마지막으로 접근한 pid를 기록한다.
한 시스템에 프로세스들이 복잡하게 올라가 있고 Message Queue를 사용해서 서로 통신을 한다고 했을 때, 간혹가다가 실수로 인해 특정 프로세스가 잘못 메시지를 가져가는 수가 생긴다. 프로세스 개수가 많아져 버리면 요걸 찾아내는게 좀처럼 힘든데, 어떤 놈이 메시지를 가져갔는지 간단하게 찾아볼 수 있다. (단, 마지막으로 넣고 가져간 놈만 찾을 수 있다.)
# ipcs -q -p------ Message Queues PIDs --------
msqid owner lspid lrpid
262144 elenoa 13263 13240
32769 elenoa 11899 13240
65538 elenoa 0 0
98307 elenoa 0 0
131076 elenoa 13240 13240
163845 elenoa 8024 8197
196614 elenoa 0 0
229383 elenoa 13240 13240
294920 elenoa 13240 13240
...#
요런 식으로 나오게 된다.
lspid는 마지막으로 전송한 pid고 lrpid는 마지막으로 읽어간 pid인듯 하고.
Shared Memory는 조금 달라서 생성한 pid와 마지막으로 접근한 pid를 기록한다.
'작업로그(SE) > Shell, Command,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할 subversion이 update시 오류가 뜬다. (0) | 2012.02.28 |
---|---|
망할 subversion이 디렉토리를 지우지 못한다. (0) | 2012.02.22 |
linux tool: lsof (부제: du와 df의 용량이 맞지 않는다!) (1) | 2009.08.29 |
vim의 colorscheme 위치, 적용법, 샘플 (2) | 2007.09.13 |
Windows (2K이상) 에서 2개 이상의 NIC을 사용할 경우, 특정 NIC을 기본 GW로 (0) | 2007.09.11 |